전체 글 301

화장실점자안내판 실명표찰(알미늄) 100x120(장애인이용가능)

화장실점자표찰(알미늄) 장애인이용가능 100×120 사이즈 신상품 모델 가격 4,300원 배송료 4,000원 재고 999 수정일 2022-07-28 오전 11:38:30 판매자 상호(이름) 박용호 메일 kinfo@naver.com 연락처 010-3840-0505 상세내용 화장실점자표찰(알미늄) 100×120(장애인이용가능) 1번 장애인 이용가능한 화장실 점자안내판 2번 일반화장실 점자 안내판 화장실 점자표찰(알미늄) 100×120 3번 공용 화장실 점자 안내판 장애인전용 안내판 화장실 점자표찰(알미늄) 100×120

3.4.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(위생시설,소변기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4 소변기 평가기준 3.4.1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소변기의 형태 및 손잡이를 평가하여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의 지탱하는 힘이 부족한 다양한 사용자가 소변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소변기와 손잡이가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소변기의 형태 및 수평·수직손잡이 굵기, 설치 높이 평가 배 점 6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소변기형태 및 손잡이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점수로 평가 구분 소변기 형태 및 손잡이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체크사항 ① 화장실 상세도에서 소변기 형태 확인(바닥부착형) ② 화장실 상세도에서 수직·수평 손잡이의 높이 및 두께 확인 ③ (일반) 수평..

3.3.5 기타설비(위생시설,대변기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3 대변기 평가기준 3.3.5 기타설비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대변기에 세정장치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대변기 세정장치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세정장치가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세정장치의 설치 형태 및 기타설비 평가 배 점 3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대변기 기타설비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기타설비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- 유아용 거치대는 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화장실 또는 일반화장실에 설치한 것을 평가함 - 조명스위치 및 화장지걸이는 바닥면에서 0.8m ~ 1.2m이내에 설치하여야 함 - 출입문을 자동문으로 설치할 경우 자동문버튼은 바닥면에서 0..

3.3.4 손잡이(위생시설,대변기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3 대변기 평가기준 3.3.4 손잡이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대변기 손잡이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대변기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재질과 굵기의 손잡이가 적절한 높이에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대변기 수평 및 수직손잡이 재질과 굵기, 설치 높이로 평가 배 점 3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대변기 손잡이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손잡이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- 대변기 전면에 활동공간이 1.4m×1.4m이상 확보 될 경우 우수의 벽걸이형과 동일하게 평가함 - 대변기 전면에 활동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반드시 벽걸이형으로 설치함 체크사항 ① 화장실 상세도에서 수평..

3.3.3 형태(위생시설,대변기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3 대변기 평가기준 3.3.3 형태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대변기의 형태 및 설치 높이를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 및 높이로 설치되도록 함 평가방법 대변기의 형태 및 설치 높이로 평가 배 점 3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대변기 형태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형태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- 대변기 전면에 활동공간이 1.4m×1.4m이상 확보 될 경우 우수의 벽걸이형과 동일하게 평가함 - 대변기 전면에 활동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반드시 벽걸이형으로 설치함 체크사항 ① 화장실 상세도에서 대변기 형태 및 좌대 높이 확인 ② (일반) 대변..

3.3.2 활동공간(위생시설,대변기)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3 대변기 평가기준 3.3.2 활동공간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대변기 내부의 활동공간을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활동공간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 대변기 내부 유효 바닥면의 크기로 평가 배 점 3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대변기 활동공간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활동공간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-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칸막이의 활동공간으로 평가함 체크사항 ① 화장실 상세도에서 유효바닥 면적 치수 확인 ② (일반) 대변기 유효바닥 면적이 폭1.6m이상, 깊이2.0m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며, 대변기 측면 활동공간 0.75m이상 확..

3.3.1 칸막이 출입문(위생시설,대변기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3 대변기 평가기준 3.3.1 칸막이 출입문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대변기의 칸막이 출입문을 평가하여 대변기 칸막이 출입문이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대변기로 접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 및 유효폭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 칸막이의 출입문 유효폭의 휠체어 접근 가능 정도 및 출입문의 형태로 평가 칸막이 사용여부 시각설비 여부와 손잡이 및 잠금장치 형태로 평가 배 점 5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대변기의 칸막이 출입문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- 유효폭 구분 유효폭 평가항목 점수 평가 자체평가 - 화장실 사용여부 설비는 장애인 등이 이용 가능한 화장실 칸막이 뿐 아니라 일반 칸막이..

3.2.3 출입구(문)(위생시설,화장실의 접근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2 화장실의 접근 평가기준 3.2.3 출입구(문)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화장실의 출입구(문)을 평가하여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화장실로 접근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형태의 출입구(문) 및 적절한 폭을 확보하도록 함 평가방법 휠체어의 접근이 가능한 출입구(문)의 형태 및 유효폭의 확보여부 평가 배 점 3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화장실의 출입구(문)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형태 및 유효폭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- 화장실의 출입문의 유효폭은 문틀 내부 폭에서 경첩의 내민 거리와 문의두께를 뺀 나머지 폭으로 측정함 - 화장실의 출입문이 없는 경우 화장실 출입문 형태는 자동문을..

3.2.2 바닥 마감(위생시설,화장실의 접근)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 전문분야: 3 위생시설 인증항목: 3.2 화장실의 접근 평가기준: 3.2.2 바닥 마감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: 화장실 접근로의 바닥 마감 상태를 평가하여 장애인 및 노약자 등 다양한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화장실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함 평가방법: 화장실 바닥 마감의 평탄함 및 미끄러지는 정도 평가 배 점: 4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화장실 바닥 마감의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구분 바닥 마감 평가항목 점수 평가 점수 자체평가 체크사항 ① 실내재료마감표 , 마감상세도에서 화장실 바닥마감 확인 (미끄럽지 않은 재질 CSR 0.4이상 제품) ② (우수) 물이 묻어도 미끄럽지 않은 타일 혹은 판석마감인 경우로 ..

3.2.1 유효폭 및 단차(위생시설,화장실의 접근)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BF인증기준

건축물에 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기준 전문분야 3 위생시설 인증항목 3.2 화장실의 접근 평가기준 3.2.1 유효폭 및 단차 세부 평가기준 평가목적 화장실로 접근하기 위한 통로를 평가하여 화장실로 접근하기 위한 모든 통로가 장애인 등 다양한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적절한 유효폭을 확보하고, 단차 없이 진입이 할 수 있도록 함 평가방법 화장실로 접근하기 위한 모든 통로의 유효폭 및 단차 정도 평가 배 점 6점 (평가항목) 산출기준 평점 = 화장실로 접근하기 위한 통로의 유효폭 및 단차 평가등급에 해당하는 평가항목 점수로 평가 세부항목 - 유효폭 구분 유효폭 평가항목 점수 평가 자체평가 체크사항 유효폭 ① 장애인화장실 독립설치 시 복도 폭을 유효폭으로 확인 ② 일반화장실 내 설치하는 경우..